2008년 10월 26일 일요일

emacs 22에서 세벌식 최종 한글 입력 방식 설정

아래에서 파일 받음.

wget http://paero3.myzip.co.kr/applications/leim_sebeol_final.tar.bz2

압축파일에 있는 readme2003_0124.txt의 내용.

이 파일들은 이맥스 세벌식 최종 leim 패키지 (드보락 포함) 입니다.
임 채훈님이 emacs-kr 게시판에 올린 것을 exsider님께서 고친 것입니다.

마지막으로 세벌식 최종의 큰 따옴표를 바로 잡았습니다.
(쿼티 기준) &자리 "를 “로, *자리 "를 ”로 고침
참고로 세벌식 최종의 큰 따옴표는 “(열림), ”(닫힘), "(인치)입니다.
참고 : 세벌식 사랑 모임 http://www.sebeol.org/

--- 아래는 exsider님의 글입니다. (약간 고침)

※ 특징

- 겹모음 : ㅢ -> ie 로도 입력가능
ㅘ,ㅝ, ㅚ, ㅟ, ㅙ, ㅞ -> z, 9 대신에 k,x 로도 입력가능
- 겹받침 : 자음 두개를 눌러 입력가능
ㄲ, ㅆ, ㄵ, ㄺ, ㄶ, ㄼ, ㄻ, ㅀ
- 특수기호 입력가능 (※ , · , “ , ”)
- 파일명과 input-method 명 변경
(기존의 세벌식 390 파일을 덮어쓰지 않고 사용가능)

※ 파일 구성

- hangul3f.el hangul3f.elc :
쿼티 자판용 세벌식 최종 파일입니다.

- hangul3fd.el hangul3fd.elc :
드보락 자판용 세벌식 최종 파일입니다.

- leim-list.el :
원래 있던 것에 위의 파일들과 input-method 를 추가했습니다.

- readme.txt :
이 파일입니다.

※ 사용법

leim-list.el 을 이맥스 설치 경로 (보통 /usr/share/emacs 나
/usr/local/share/emacs/(버전/) 정도가 될 것입니다.) 내의 leim 디렉토리에
복사합니다. (원래 있던 파일은 백업해두세요.)

hangul3f.el , hangul3f.elc , hangul3fd.el , hangul3fd.elc
를 설치 경로 안의 leim/quail/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.

자신의 .emacs 파일 앞부분에 다음과 비슷한 부분을 찾습니다.
---> 없으면 <이맥스>의 메뉴 Options / Save Options를 해서 만듭니다.

(custom-set-variables
'(default-input-method "korean-hangul3")
'(default-korean-keyboard "3" t)

아래처럼 바꾸고 저장합니다. (쓰는 영문 배열에 따라)
-- 쿼티 자판 --
(custom-set-variables
'(default-input-method "korean-hangul3f")
'(default-korean-keyboard "3f" t)

-- 드보락 자판 --
(custom-set-variables
'(default-input-method "korean-hangul3fd")
'(default-korean-keyboard "3fd" t)

XEmacs 의 경우에는 elc 파일은 삭제한 후 el 파일을 XEmacs 에서
다시 바이트 컴파일해서 사용하면 될 겁니다.(제가 XEmars 를 쓰지
않아서 확인은 못해봤습니다.)

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메일보내주세요.
exsider@shinbiro.com

출처:
http://wiki.kldp.org/wiki.php/EmacsHangulConfiguration
http://paero3.myzip.co.kr/use_sebeol_keyboard/linux_emacs/xwindow_emacs.htm

댓글 없음: